본문 바로가기

사회

쌓여만 가는 쌀, 풀 데가 없다

쌓여만 가는 쌀, 풀 데가 없다
경향신문 | 박병률 기자 mypark@kyunghyang.com | 입력: 2016.09.13 18:41:00 | 수정: 2016.09.13 21:51:01

농지 2만 ㏊·생산량 10만 톤 감소에도 가격 폭락세
...
쌀이 남아도는 가장 큰 원인은 매년 40만 9000 t씩 수입하는 의무 수입 물량 때문이다. 국내 유통 뒤 남는 재고 30만 t을 더하면 매년 70만 t 가량의 쌀이 남아돈다. 이를 소비할 마땅한 방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농민들은 남는 쌀을 국내 시장에서 완전히 빼낼 것을 요구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는 화답하지 못하고 있다. 얽힌 관계 법령이 많은 데다 타 부처와 협의를 거쳐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쌀의 대북 지원은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꽉 막혔다. 해외 원조는 운송비와 가공비 부담이 문제다. 밥상용 쌀을 사료용이나 가공용, 주정용으로 일부 전환했지만 소비량은 많지 않다. 올해 처음으로 사료용 쌀을 공급했지만 2만 t을 소비하는 데 그쳤고, 공장 가공용 쌀도 10만 t 공급 목표를 채우지 못했다. 벼 수확 전 총채벼(익기 전의 벼)를 사료용으로 공급하자는 제안도 제자리걸음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쌀값 하락은 쌀 수확 이후에 가격이 더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며 “해외 원조, 총채벼의 사료용 전환 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장경호 농업농촌연구소 녀름 소장은 “정부가 수급 조절에 실패하면서 농정 불신이 커진 것이 문제”라며 “복지 시설에 급식용 쌀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재고 해소를 위한 과감한 대책을 정부가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